2년간 중국이 추구한 ‘제로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로 위기 맞이해…

2년간 중국이 추구한 ‘제로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로 위기 맞이해…

 

중국의 봉쇄령 내려진 시기

2022년 3월 11일 중국 정부는 상하이에 봉쇄령을 내렸다. 미국, 유럽 등이 위드 코로나로 방역 방향을 바꾸었지만, 중국은 ‘칭링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칭링(淸零)은 ‘완전히 사라지다’라는 뜻으로 칭링 정책은 자국 내 코로나 감염자가 아무도 없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로 코로나 정책’이라고도 불린다.

 

칭링 정책의 과도한 방역 정책은 주민들을 고립시켰다. 봉쇄령이 내려지면 식당, 카페, 헬스장 등의 영업이 중지되고, 시내외 대중교통도 통제되며, 인근 유원지 출입도 금지되기 때문이다.  나서는 것도 오직 코로나 검사를 받을 때만 가능하다. 심지어 아파트 단지에 울타리가 쳐진다. 각종 식료품과 필수품은 배달을 통해 받거나 당국이 배급해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코로나 추세에 따라 봉쇄령 강도가 낮아지더라도 ‘단지 통행권’을 보여준 후에 집 근처 편의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

 

중국은 제로 코로나를 달성하기 위하여 PCR 검사를 일상화시켰다. 확진자가 발생하면 인근 주민들은 모두 PCR 검사를 받아야 한다. 숨어있는 확진자를 발견하고 격리시켜 전파의 뿌리를 아예 제거해버리고자 하는 것이다.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감염병 관리지침을 만들 때는, 역학 조사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방역지침은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측면에서 삶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조기 진단을 위해 건강검진 항목에 모든 장기별 영상촬영을 할 수는 없다. 사회적인 손익, 환자의 ‘outcome’을 따져서 건강검진 항목을 선정한다. 이와 같이 방역지침은 감염병 확산 방지에 집중해야 하지만 기타 인간이 마땅히 누려야 할 삶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대부분의 나라가 ‘위드 코로나’를 시행한다고 해서 ‘위드 코로나’가 과연 정답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옳고 그름의 여부를 떠나 현재 중국의 문제는, 중국 국민들이 자국의 방역 상태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지 못하고 있고, ‘제로 코로나’라는 목표를 위해 주민들의 삶을 과도하게 통제하고 있다는 점이다.

 

제로 코로나, 지속 가능한가?

오미크론이 델타보다 덜 치명적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mild’한 건 아니다. 따라서 심한 증상을 보이는 오미크론 감염자를 관리할 의료 체계도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의 의료체계로는 오미크론 확진자를 감당하기가 어렵다.

 

칭링 정책은 오미크론 변이 전까지는 꽤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오미크론 변이가 나타나 급속히 퍼지면서 칭링 정책은 속수무책이 되었다. 한정된 의료 자원으로 전파속도가 빠른 오미크론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관리 체계를 다층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출처: COVID-19 Data Repository by the Center for Systems Science and Engineering (CSSE) at Johns Hopkins University>

 

중국은 ‘사회면 제로 코로나’를 14일 연속 달성하면 봉쇄 강도를 낮추는 지침을 실행하고 있다. ‘사회면 제로 코로나’란 관리 및 통제 구역 이외의 인근 지역에서 감염자가 속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과의 교류지인 단둥에서는 ‘사회면 제로 코로나’달성 8일째에 11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이에 따라 다시 봉쇄 강도가 높아졌다. 이에 대하여 중국에서는 당국이 확진자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여론이 나오고 있다.

 

김현 기자/연세원주

<lisa051223@naver.com>